*

It could lead you on the way to your dreams.










-
안녕하세요, 여러분! 우주먼지 김벌(gimbee)입니다. 새벽 세시가 넘었어요. 이 시간까지 안자고 맨정신으로 불태우는 건 참 오랜만이네요. 새벽형 인간이신 분들 잘 지내셨나요. ? _ ?

우주먼지는 그럭저럭 아주 행복하게 잘 지내고 있답니다. 행복해서 새벽까지 밤을 못새곤 했어요. 완벽한 새벽형인간인데 말이죠.


간만에 {영화 드라마 같은 인생} 폴더에 글을 남기네요.

가끔씩은 나의 지식들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거라는 믿음 하나로 저의 뇌에서 정보를 꺼내어 적고 있답니다. 작가를 꿈꾸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. 조용한 끄적임이지만, 큰 울림이 되길 기도합니다!






지난 번에는 스토리텔링이라는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서 설명해드렸는데요. 오늘은 그 심화과정으로 들어가보려합니다.

작가를 꿈꾸는 많은 분들 중 대부분이 자기 자신의 작품에 대한 애착이 큽니다. 저도 그랬거든요. 내가 보기엔 정말 재미있고, 신박한 것 같고, 당장이라도 드라마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그런 애착이요. 제 자식은 다 예쁘다는 말처럼, 글도 그렇습니다. 처음 써본 글에게 더 애착이 가는 법이죠. 


글을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주고, 피칭을 통해 사람들의 반응을 보는 연습이 참 중요합니다. 물론, 신인들은 소재나 주제도 신선하고 재미있어야 합니다. 뻔하디 뻔한 소재나, 터무니없는 내용의 글들은 그저 일기에 지나지 않으니까요.


오늘 우주먼지는 스토리텔링을 하기 전, 점검사항 중 '기승전결'에 대해 적어보려합니다. 참고로 저는 작품을 기획하고 기획의도와 스토리를 구상하기 전에 이 단계를 무조건 걸친 뒤 집필하거든요. 처음 의도했던 바와 다른 방향으로 가는 걸 방지하고자 만든 습관입니다.















*

제가 읽었던 작법책들입니다. 정확히는 심산의 시나리오 워크숍 한국형 시나리오 쓰기를 제외하고는 읽다 포기했어요.

특히 로버트맥기의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이 책은 정말 아무리 읽어도 힘들더라고요. 로버트 맥기 제자 중에 성공한 연출, 작가들이 많은데요. 이 책의 내용을 이해했다는 자체가 이미 성공의 척도에 한걸음 다가간 사람들인 것 같달까나... 여튼 이게 제 책 리뷰입니다.





서론이 길었네요.

제가 지난 번에 스토리텔링이란 시작과 끝이 있는 재미있는 줄거리를 모든 수단을 통해 청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라고 표현했었습니다.


시작과 끝이 있다는 것 '기, 승, 전, 결'이 확실하게 나뉘어져있다는 뜻입니다. '발단, 전개, 위기, 절정, 결말'도 같은 방식이고요.

거기에 '재미'까지 포함되어 있어야합니다.







그렇다면, 내 이야기를 시작과 끝이 있게 재미있게 쓰기 전에 어떤 걸 점검해야할까요?



01

스토리텔링을 하기 전 기획단계가 중요하다.

-시청자들의 공감을 살 수 있는가?

-재미나 흥미를 이끌 수 있는가?

-흥행요소를 지녔는가?




02

기승전결이 확실하게 나뉘어져 있는가?

기: 발단부로, 캐릭터(특히 주인공)들의 성격이 나타나고, 사건이 발생된다.

승: 스토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이다. 사건이나 갈등이 고조된다.

전: 주로 전=결 일 때도 많다. 클라이맥스(climax). 갈등이 해소된다.


* 작가는 클라이맥스에서 자신이 전하고자하는 말을 한다.








'인물', '사건', '배경'은 스토리텔링의 뼈대입니다. 그 뼈대 위에 줄거리를 넣어주는 플롯 구성(기승전결)을 해야합니다. 오늘은 기본적인 기승전결이 무엇인지에 대해 짧게 설명해드렸는데요.


'기(발단부)'에서 시청자들의 구미를 당길 사건을 터트려주고, 그 사건을 해결하려고 갈등하는 이야기'승'에 해당됩니다. '승'은 이야기의 80% 가까이에 해당되는 부분입니다. 그리고 '전=결' 클라이맥스에서는 갈등이 해소되고, 작가의 의도가 나타나는 부분입니다.



우리는 태어난 순간부터 매스미디어에 노출되어 있었습니다. 자연스럽게 드라마를 봤고, 소설을 읽었고, 영화를 봤습니다. 처음 보는 영화여도 주인공이 누구인지, 어떤 갈등을 겪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. 그렇듯, 우리는 자연스럽게 기승전결의 구조를 이해하고 있습니다.

이제부터 중요한 것은 내 글도 그들의 작품처럼 기승전결있게 그리고 재미있게 만들어야한다는 것입니다.


최고의 방법으로는 내가 좋아하는 작품이나 내가 안좋게 봤던 작품들을 다시 보면서 비교해보는게 좋습니다. 어디가 발단부인지, 어느 부분이 결말이고 작가의 의도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

연출 공부하는 분들 중에는 씬마다 나눠서 분석하는 분들도 많습니다. 매 씬마다 나눠서 필사할 용기가 없으신 분들은 최소한 작품을 분석하는 연습이라도 하셔야 됩니다. 꾸준한 연습만이 작법이 느는 방법이니까요.



다음에는 캐릭터에 대해서 더 자세히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:)







다들 굿밤 - 아니 굿 데이브레이크!

우주먼지는 이만 총총...





@offgraybee








-

안녕하세요. 우주먼지 김벌(gimbee)의 영화 드라마 같은 인생 코너에 찾아와주셔서 감사합니다. (_ _) 꾸벅 ~ ~ !

{영화 드라마 같은 인생}은 저의 평범한 일상이 아닌, 제가 하고자하는 꿈에 대해서 공부하는 카테고리인데요. 제가 공부하는 것을 공유함으로써 정보가 필요하신 분들에게 이해를 드리려고 합니다.








위대한 예술이란 바로 우리의 인생이다.


우주먼지는 우리들의 삶, 그저 소소한 그 모든 것들이 예술이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. 작가를 꿈꾸는 모든 분들이 이 글귀를 마음 속에 새기고 포기하지 않길 기도합니다. :)






-

제가 오늘 준비한 것은 스토리텔링입니다.

스토리텔링 많이 들어보셨죠? 말 그대로 스토리(story)텔링(telling)이 합쳐져 스토리텔링(storytelling)이라고 하는데요. 그렇다면 스토리가 무엇이고 텔링이 무엇인지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





-스토리(story)

story를 사전에서 검색해보면 두가지 사전적 의미가 나옵니다.

1. (허구적인, 재미있는) 이야기

2. (실제 있었던 일에 대한) 이야기


사실이든 허구든지 간에 {이야기}를 나타내는 걸 story라고 합니다. 더 나아가서 설명하자면 스토리는 시작과 끝이 있는 이야기입니다. 시작이 됐으면 결말이 나와야한다는 뜻이죠. 스토리텔링의 스토리엔 '재미'도 필수로 포함되어야합니다. 시작과 끝이 있는 재미있는 이야기.






-텔링(telling)

텔링은 말하다라는 tell의 동명사적 개념으로 '말하기'정도의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

스토리텔링에서의 텔링은 청자가 있어야만 텔링입니다. 그저 떠들기만 하는 게 아닌, 내가 하고자하는 이야기를 듣는 사람을 필요로 합니다.


미디어가 발달되면서 요즘에는 말 이외에도 모든 전달 가능한 수단과 방법을 텔링이라고 합니다.






-스토리텔링(storytelling)


스토리텔링은 단어, 이미지, 소리를 통하여 사건과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입니다.

시작과 끝이 있는 재미있는 이야기(story)를 모든 수단을 통해 청자에게 전달하는 것이죠.


스토리텔링은 참 많은 분야에서 활용됩니다. 특히, 영화나 TV, DRAMA 등 문화산업 전반적으로 스토리텔링을 요구합니다. 이는 '잘 짜여진', '재미있는' 이야기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, 수익을 만들어 내기 때문입니다.

1) 늘 새로우면서도 2) 작가의 고유가치가 담겨있으며 3) 보편성을 지닌 이야기를 만들어야합니다.




요즘 시대에는 콘텐츠가 매우 중요합니다.

미디어가 발전하면서 디바이스 또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지만, 그 디바이스로 즐길거리를 찾을 수 없다면 디바이스는 그저 기계에 불과합니다.

콘텐츠란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을 유 무선 전기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문자, 부호, 음성, 음향, 이미지, 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처리, 유통하는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통틀어 이릅니다.

(즉, 콘텐츠는 디지털적 개념입니다.)


그 중 킬러콘텐츠는 콘텐츠 중에서도 재미있고, 인기있고, 상품가치가 있는 콘텐츠를 일컫습니다. 하나의 콘텐츠로 원소스멀티유즈가 가능하다면 그 콘텐츠는 킬러콘텐츠입니다.







작가를 꿈꾸는 사람들이 재미있는 스토리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?

바로 개연성 있는 글을 써야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{막장} 딱지가 꼬리를 붙을 수 있습니다.



우리가 즐겨보는 드라마도 영화도 알고보면 그저 사람사는 평범한 이야기입니다. 그 안에 흥미재미, 흥행요소를 가미하여 시청자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것입니다.

우리는 우리와 같은 처지, 또는 경험했던 것들에 공감합니다. 공감할 수 있는 글을 쓰려면, 우리들이 사는 이야기. 즉, 개연성 있는 글을 써야합니다.

하지만 그저 개연성있는 이야기만 써내서는 성공적인 스토리텔링을 할 수 없습니다.

작가는 어떤 스토리를 만들 때 {재미있는 이야기}를 써야한다는 걸 명심해야합니다. 사람 냄새나는 사람 사는 이야기이지만 재미있게 그리고 그 안에 필연성을 담아 캐릭터들의 행동들과 상황들을 필연적으로 연결해주어야합니다.

그렇지 않으면, 뭔가 뜬금없는 이야기가 되어버리겠죠?



작가를 준비하는 분들이라면 스토리를 구상하고 틀을 잡은 뒤에,

{내 스토리텔링을 끌어갈 수 있는 논리적 설득력이 있는가? 개연성이 있는가? 그 안에 필연성이 있는가?} 확인해보셔야합니다.


좋은 작품들을 필사하면서 이야기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공부해보는 것도 참 좋습니다.

몇 십년이 지나도 사랑 받는 작품들은 다 이유가 있습니다. 좋은 작품부터 하나씩, 재미없다면 내가 좋아하고 흥행한 작품이라도 좋습니다. 그 작가는 어떻게 글을 썼는지, 그 안에서는 어떠한 필연적인 작용들이 상황을 이끌어가는지 확인해보세요.


필사만큼 좋은 것도 없습니다. :)







어느덧 밤이 다가오네요.

다들 오늘 밤은 좋은 작품을 보면서, 나의 이야기는 과연 재미있는 것인가? 사람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것인가? 생각해보는 건 어떠세요?



우주먼지는 이만 사라져보겠습니다. 총총







@offgraybee

+ Recent posts